정부가 중소기업의 AI 공장도입 확대를 목표로 '스마트제조혁신 전략'을 새롭게 마련했습니다.
2030년까지 AI 스마트공장 1만2천 개를 보급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제5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장소: 24일, 삼양식품 밀양공장)
정부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중소기업 생산 현장에 인공지능을 도입해 제조 경쟁력을 높이고, 인력난도 해결하겠다는 겁니다.
녹취> 김민석 국무총리
"우리 제조업은 글로벌 불확실성과 구조적 한계라는 대내외적인 이중의 도전에 직면해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디지털 AI 전환과 혁신은 더 이상 선택일 수 없습니다. 필수입니다.“
목표는 2030년까지 중소기업 전용 AI 스마트공장 1만2천 개를 보급하는 겁니다.
이로써 현재 1% 수준인 중소 제조업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리고, 산업재해율은 20% 줄일 계획입니다.
정부는 '제조AI 24 플랫폼'을 구축해 원스톱으로 지원할 방침입니다.
전 주기 지원체계도 수립합니다.
녹취> 권순재 / 중소벤처기업부 지역기업정책관
"스마트공장과 인공지능의 도입부터 사후관리까지 수준별 맞춤 지원을 통해 자율제조 선도모델을 육성하고자 합니다. AI 전문가를 통해 꼼꼼히 컨설팅해 AI 활용률을 높이겠습니다."
소기업의 초기 투자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구독형 스마트공장'을 도입합니다.
AI 설비와 서비스를 정한 기간 구독형태로 필요한 기능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중소기업 간 상생도 추진합니다.
대기업의 거대언어모델을 중소 협력사들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상생형 AI 공장'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화장품 등 특화업종 공장을 만들고, 지자체 기획을 정부가 뒷받침하는 '지역 특화형 공장'도 늘립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민경철, 임주완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한편 정부는 '제조AI 전문기업' 500개 육성을 목표로 벤처투자, 해외 진출 등 단계별 지원합니다.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전문기업 지정제도, 맞춤형 컨설팅도 시행할 예정입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