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3년을 애기할 때 행정중심복합도시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참여정부가 심혈을 기울인 행복도시건설은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헌법재판소가 행정중심복합도시특별법을 합헌 판결함으로써 법적 정당성을 확보한 행복도시 건설은 탄력을 받고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일부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지지부진했던 토지보상도 시간이 지날수록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2014년까지 12부 4처 2청이 들어설 행정중심복합도시는 기하학적 골격으로 도시를 구성하고 금강을 중심으로 자연을 최대한 어우러지게 배치한다는 것이 기본 개념입니다.
이 도시개념을 기본으로 11월까지 정부부처와 주거지역 그리고 상업지역이 들어설 기본계획이 수립됨으로써 본격적인 행복도시 건설이 시작됩니다.
행복도시는 2014년까지 중앙부처의 입주가 완료되고 2030년이면 인구 50만명의 자족도시 형태로 건설될 예정입니다.
행복도시와 함께 국가균형발전 사업의 양대 축을 형성할 공공기관 지방이전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인구 2만에서 5만 규모의 환경 친화적인 혁신도시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녹색도시로 건설됩니다.
혁신도시는 색과 높이, 조명 등 미적 요소를 최대한 고려하는 등 세계 최고 명품도시를 지향합니다.
정부는 공영형 혁신학교와 각종 문화시설 등을 충분히 확충해 최상의 생활환경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상반기 중 혁신도시 건설 기본구상을 확정하고 내년부터 혁신도시 건설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2010년부터 주택공사와 토지공사 등 선도기관이 먼저 혁신도시로 이전하고, 2012년까지 모든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됩니다.
수도권과 지방이 고루 잘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한 참여정부의 역사적 결단.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전국 10개 혁신도시 건설 청사진이 마무리됨에 따라 국토 균형발전의 대역사가 시작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