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국방개혁 2.0'···군 사법개혁안 발표 [오늘의 브리핑]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국방개혁 2.0'···군 사법개혁안 발표 [오늘의 브리핑]

등록일 : 2018.08.23

신경은 앵커>
국방부가 국방 개혁 2.0 후속으로 군 사법 개혁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박경수 / 국방부 법무관리관
(장소: 국방부)

항소심인 고등군사법원을 민간에 이양하고, 각 군 군사법원을 국방부로 통합하기 위한 군사법원법 개정안을 마련 중에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국방부 고등군사법원을 폐지하고, 항소심을 민간 고등법원으로 이양하겠습니다.
1심 군사법원 31개를 국방부 소속 5개 지역 군사법원으로 통합하겠습니다.

이렇게 운영될 경우 각 군과 예하 지휘관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 재판의 독립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군사법원의 독립성 강화를 위해서 군사법원의 관할관과 심판관제도를 폐지하겠습니다.

군사법원 운영에 있어서 그동안 군법무관으로 군판사를 운영해 왔으나 군사법원장을 민간 법조인 중에서 임명하여 재판에 참여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될 경우 군의 특수성과 군사법원의 전문성이 조화를 이루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음은 군검찰 ·군사법경찰 분야입니다.

사단급 이상 부대에 설치돼 있는 보통검찰부를 각 군 검찰총장 직속의 검찰단으로 통합하여 설치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할 경우 총 96개 검찰부를 4개 검찰부로 축소 운영하게 될 것입니다.

참모총장이 군검찰에 대해서 일반적 지휘감독권만 행사하도록 하고 구체적 지휘감독은 소속 검찰단장에게만 행사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현재 군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할 경우에는 지휘관의 승인을 받아야 하나 지휘관의 구속영장 청구 승인권을 폐지하여 수사의 독립성을 보장할 계획입니다.

다음 군 인권 분야입니다.

국가인권위원회 내에 군인권보호관 신설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세부적인 추진을 위해 국가인권위원회와 국가인권위원회법 개정안에 대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군 범죄 피해자나 사망자의 유가족에 대한 법률 지원을 위해 국선변호사 제도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7월 1일부로 군 수사절차상 인권보호 등에 관한 훈령을 전면 개정하여 수사기관에서 피의자의 휴식권을 보장하는 등 인권 보장을 강화하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