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배너 닫기
본문

KTV 국민방송

고령층, ICT 활용 급증···외모 관리 등 활동성도 증가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고령층, ICT 활용 급증···외모 관리 등 활동성도 증가

등록일 : 2025.09.29 20:00

김경호 앵커>
지난해 고령층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5년 전보다 1시간 넘게 늘었습니다.
근로시간과 외모 관리에 쓰는 시간도 소폭 늘면서 활동성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통계청의 2024년 생활시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97.2%가 미디어를 이용해 여가를 즐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최근 5년 사이 고령자의 실시간 방송시청 시간은 평균 2분 줄었지만, 동영상 시청은 16분가량 대폭 늘었습니다.
스마트폰 등 ICT 기기 사용 시간은 총 1시간 39분으로 5년 전보다 1시간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여가 활동에 1시간 11분을 썼고, 의무 활동 23분, 필수 활동 5분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일·건강관리 등 활동 전반도 확대됐습니다.

전화인터뷰> 김지은 /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장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65세 이상 고령자라고 하는 그룹이 상당히 젊고 건강하고 활동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점인데요. 2024년 기준 고령자 일한 시간은 5년 전 대비 증가했고, 고용률도 상승했습니다. 또한 외모 관리와 자기 건강관리 시간이 늘고, 병원에 실제 가는 의료서비스 받은 시간은 줄어들었습니다.“

고령인구 고용률은 2015년 30.4%에서 지난해 38.2%로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고령자가 일한 시간은 하루 1시간 33분으로 5년 전보다 5분 증가했습니다.
개인위생과 외모관리 시간은 평균 1시간 27분으로 5년 전 대비 6분 늘었습니다.
의료서비스 받은 시간은 평균 7분으로 5분가량 줄었습니다.
한편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천51만4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사상 처음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면서,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됐습니다.
통계청은 고령인구 비중이 2036년 30%, 2050년 4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