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된 AI 시티 조성을 위한 밑그림 작업에 나섰습니다.
특정 지역을 국가 시범 AI 시티로 지정하고, AI 기술을 도시 행정과 각종 서비스에 실증한다는 계획인데요.
보도에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공공 영역에 급속도로 도입되고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
재난 경보와 민원 상담뿐 아니라 행정 업무, 교통 체계 관리 등 공공 분야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2018년부터 추진해온 스마트 도시를 본떠 특정 지역을 국가 시범 AI 시티로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합니다.
기존 스마트시티를 넘어 도시 행정과 서비스 전반에 AI를 적용하는 미래형 도시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기존 스마트시티에서는 사물인터넷과,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해 버스정보시스템과 도시통합센터, 스마트 횡단 보도 등 서비스 도입과 데이터 수집에 주력해 왔습니다.
반면 AI 시티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교통과 에너지,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한 도시 문제에 대한 해결책까지 제공하는데 초점이 맞춰질 전망입니다.
도시 운영 전반에 지능화와 자율성을 극대화 하겠다는 겁니다.
전화인터뷰> 이세원 / 국토연구원 공간정보정책센터 부연구위원
"도시에서 AI가 바꿀 수 있는 첫 번째가 사전 예방적 대응 서비스, 그래서 기존에 스마트시티에서 접근했던 것은 이상치 라든가 문제점을 발현시켰던 거지 사전 예방 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게 없었기 때문에 그걸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 필지 단위로 학습시키고..."
이를 위해 AI 특화 시범도시 사업지 선정과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예산 40억 원을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됐습니다.
또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LH와 국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등 관련 분야 기관들이 참여하는 AI 시티 추진 TF도 꾸려졌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AI 시티 조성사업의 방향을 그려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또 AI 기술변화의 속도를 고려해 민간 기업과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TF 출범을 시작으로 한국형 AI 시티 실현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