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시스템 복구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윤현석 기자, 생각보다 화재 영향이 커서 복구 작업이 쉽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래도 복구가 조금 진전됐습니까?
윤현석 기자 / 정부서울청사>
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늘 오후 4시 기준 전체 647개 시스템 중 115개 시스템이 복구됐다고 밝혔습니다.
어제보다 14개 늘었고, 전체 시스템 복구율은 17.7%를 기록했습니다.
복구된 서비스에는 1등급 서비스 21개도 포함됐습니다.
소방청의 119 안전신고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가 정상화됐습니다.
중대본은 국민 눈높이보다 복구 속도가 더딘 점을 알고 있다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화재 영향이 적은 전산실 시스템의 경우에도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과 연계된 것이 많다며 복구가 더딘 이유를 밝혔습니다.
김경호 앵커>
국민신문고도 완전 복구까지 한 달 넘게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 기간 민원 신청은 그럼 어떻게 해야 하죠?
윤현석 기자>
네, 정부는 복구 완료 전까지는 민원 소관 기관으로 우편 등을 통해 접수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담당 기관을 알기 어려운 경우에는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을 제출하면 권익위가 전달할 방침입니다.
권익위 확인 결과 9월 25일까지의 국민신문고 데이터는 보존됐는데요.
9월 26일에 민원을 신청했거나 그전에 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우편 등을 통해 다시 신청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정부는 행정 서비스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서울서부 고용노동지청을 찾았는데요, 임금 체불과 산재 신고에 대한 수기 업무처리 등 업무 연속성 확보조치가 실제로 작동하는지 확인했습니다.
또 시스템 장애로 인한 현장 혼선과 애로사항도 함께 살폈습니다.
윤 장관은 추석 연휴에도 행정 서비스가 멈추지 않고, 국민이 느낄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경호 앵커>
권익위가 임시 소통 창구가 되겠군요.
이밖에도 불편한 것들이 꽤 많습니다.
복구에 조금 더 속도를 내야할 것 같은데요.
윤현석 기자>
네, 정부는 불이 난 5층 전산실 복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전 본원의 무정전·전원장치 기반 인프라를 교체합니다.
5층 7, 8 전산실의 손실 서버 네트워크 등 장비도 재배치 중입니다.
화재로 녹아내린 5층 7, 8 전산실 전원장치 수리는 전문업체의 지원을 받습니다.
이를 통해 통상 1개월 걸리는 것을 열흘 안에 끝내기로 했습니다.
신속한 복구를 위해 예비비 활용을 위한 절차에도 착수했습니다.
중대본은 인력과 예산 집행이 즉각적으로 이뤄지도록 조치할 예정입니다.
특히 추가 복구인력 투입과 신규 장비 구매 관련 비용은 선집행, 후지급을 원칙으로 합니다.
지금까지 정부서울청사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