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투자형 R&D 4배 확대···제조·하드웨어 집중 지원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투자형 R&D 4배 확대···제조·하드웨어 집중 지원

등록일 : 2021.09.01

박성욱 앵커>
'벤처 캐피탈'이 먼저 투자하면, 정부가 매칭해 지원하는 '투자형 기술 개발'이 대폭 늘어납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제조업, 하드웨어 분야'에, 예산의 80%가 지원됩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벤처 캐피탈이 먼저 투자한 기업에 정부가 연계 지원하는 투자형 기술개발.
앞으로 투자형 기술개발이 중기부 기술개발 예산의 10%까지 확대됩니다.
민간 중심의 투자 환경을 조성해 기업의 자율성을 높이고, 일회성 단기 투자가 아닌 장기적 투자를 늘리겠다는 겁니다.
투자형 기술개발 예산의 80%는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제조와 하드웨어 분야 '테크펌'에 투입됩니다.
테크펌은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이 5% 이상, 연구개발직 비중이 20% 이상 등 조건을 충족하는 기술집약형 기업입니다.
기술 개발 시 높은 성과가 예상되지만 실패 확률이 큰 프로젝트는 정책지정형으로 정해 적극 지원합니다.
탄소 저감과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미세먼지, 소재·부품·장비 분야 등이 대상으로 꼽혔습니다.
아울러 TIPS 등 민관 합동 운영사를 통해 기존의 일회성 과제 단위 투자도 이어갑니다.
민간 운영사가 먼저 투자를 결정하면 정부가 R&D, 해외 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겁니다.

녹취> 권칠승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투자형 R&D 지원과제 50%를 팁스와 같은 운영사 방식으로 전환하여 유망기업을 지속 발굴하는 동기부여와 R&D 지원의 경험이 축적되고 생태계가 성장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벤처 기업에 더 많은 투자와 인재가 유입되도록 인센티브를 확대합니다.
성과를 낸 기업 투자자에게 정부 지분을 정해진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을 부여하고, 기업이 인재 유치를 위해 인센티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콜옵션 조건도 탄력 적용합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KTV 김경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98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