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9월 복귀한 전공의들에 대해 내년 초 전문의 시험에 미리 응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또 내년 8월 졸업 예정인 의대생을 위해 의사 국시를 추가로 실시합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의대 증원에 반발해 집단사직했던 전공의들이 지난 9월 의료 현장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들이 내년 2월 전문의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길을 터주기로 했습니다.
올해 9월 돌아온 고연차 사직 전공의의 경우 내년 8월 수련을 마칩니다.
원칙적으로는 지난 9월 복귀한 전공의들은 수련 기간이 부족해 시험에 응시할 수 없습니다.
2027년 2월 시험까지 반 년을 대기해야 합니다.
그러나 정부는 이들도 시험을 볼 수 있도록 응시자격을 확대했습니다.
복지부의 이런 조치 배경은, 의사 인력 배출 지연 우려를 염두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와 함께 내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모집 응시자격도 확대했습니다.
지난달 수련을 재개한 인턴들이 내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모집에 미리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겁니다.
다만 두 특례 모두 '충실한 수련 이수'가 조건으로 붙었습니다.
특례에 따라 합격하더라도 8월 말까지 수련을 받아야 하고 끝까지 마치지 못하면 합격은 취소됩니다.
아울러 내년 8월 의대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의사 국가시험도 추가로 시행합니다.
내년 3월과 4월 실기시험, 7월 필기시험 일정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내년 2월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국가시험은 기존에 공고한 대로 치러집니다.
복지부는 이번 조치가 적정한 의료인력 수급 관리와 수련의 질 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특정 기수만 혜택을 받는 상황에 대해서는 대한의학회 등을 중심으로 외부 평가 기준을 마련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